2024 | 04 | 24
11.9℃
코스피 2,623.02 6.42(-0.24%)
코스닥 845.44 0.38(-0.04%)
USD$ 1376.0 -4.0
EUR€ 1472.5 2.5
JPY¥ 888.8 -2.5
CNY¥ 189.5 -0.8
BTC 95,930,000 764,000(-0.79%)
ETH 4,643,000 4,000(0.09%)
XRP 800.2 12.8(-1.57%)
BCH 734,100 23,200(-3.06%)
EOS 1,218 23(-1.85%)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포스코, 나진-하산 프로젝트 ‘장고’

  • 송고 2016.02.15 14:25 | 수정 2016.02.17 11:54
  • 안광석 기자 (novushomo@ebn.co.kr)

2년 넘게 사업 타당성 검토중… 남북경협 중단에 ‘급브레이크’

포스코 대치동 본사.ⓒ포스코

포스코 대치동 본사.ⓒ포스코

포스코가 2년여간 진행해온 나진-하산 프로젝트에서 손 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해당 프로젝트를 주도했던 정부가 사업의 필요조건인 남북경협을 사실상 중단한 데다, 주사업자인 포스코도 2년 넘도록 타당성 검토 과정에만 머물러 있는 만큼 사업 효용성 여부 판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나진-하산 프로젝트는 북한 나진과 러시아 하산 지역을 잇는 철도를 건설하고 항만을 개발하자는 복합물류사업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집권 첫 해인 지난 2013년 유라시아 지역 물류루트 연계 차원에서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협약한 내용이기도 하다.

포스코는 이 프로젝트를 전문성 있는 민간기업이 주도해야 한다는 정부 방침이 내려온 데다, 장기적으로 북한을 통한 육로로 러시아산 유연탄 등 물류 공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유로 현대상선 및 코레일과 컨소시엄을 맺어 참여해 왔다.

15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이날까지 정부로부터 나진-하산 프로젝트 향방에 대한 의견 및 방침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 관계자는 “개성공단 폐쇄 이후 정부와 회사간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며 “그동안 두어 차례 시험운송을 실시한 후 내부적으로 사업성 검토가 진행 중으로, 본계약 체결 여부는 기약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앞서 포스코는 지난 2015년 4월까지 테스트 차원에서 8만여t의 러시아산 유연탄을 수입했다. 정부는 이후 연내 본계약 체결을 추진했지만, 주사업자인 포스코의 사업 타당성 검토가 길어지면서 결국 해를 넘긴 상태다.

이 가운데 정부는 지난 6일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이유로 개성공단을 폐쇄하는 초강경 대북조치를 실시했다. 남북경협의 상징인 개성공단이 폐쇄되면서 청와대가 내부적으로 나진-하산 프로젝트 협의 잠정중단도 검토하고 있다는 설이 흘러나오고 있는 상태다.

포스코 자체적으로도 사업에 대한 여러 가지 가능성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포스코의 경우 러시아에서 수입하는 유연탄 물량이 적기 때문에 운송비 절감효과가 그리 크지 않다. 현재 포스코는 고로에 투입하는 70% 이상의 유연탄 물량을 호주에서 수입하고 있다.

재정적인 부담도 문제다. 나진-하산 프로젝트는 정부가 주도하는 형식이지만 자금조달은 참여기업들이 해야 한다. 앞서 정부 측은 “해당 프로젝트는 민간 차원에서 추진하는 만큼 기금 조성 없이 철저히 경제논리에 근거해 진행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프로젝트 투자비가 얼마 되지 않는다 해도 글로벌 공급과잉으로 수년간 수익성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포스코로서는 충분히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실제로 포스코는 지난해 사상 최초로 연간 순손실(연결기준)을 기록했으며, 매출액도 5년여 만에 60조원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다.

더욱이 포스코와 같이 컨소시엄에 참여 중인 현대상선은 심각한 자본잠식으로 상장폐지 위기까지 몰려 있다.

재정적으로도 그렇지만 남북경협이 중단된 현재로서는 정부나 회사 측 모두 프로젝트를 진행할 확실한 명분도 없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당초 나진-하산 프로젝트는 정준양 전 회장 때 논의가 시작된 사업으로, 고강도 구조조정을 추진 중인 권오준 현재 회장으로서는 여간 부담스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실 해당 프로젝트는 처음부터 사업 효용성보다는 박근혜 정부 집권 초 외교적 협력관계 구축 내지 남북경협이라는 정치적 의미가 더 강했다”며 “포스코의 경우 아직 정치적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한 만큼 비즈니스적으로 어떻게 판단했던 사업 참여가 불가피한 측면도 없지 않았겠느냐”고 덧붙였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23.02 6.42(-0.24)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24 06:26

95,930,000

▼ 764,000 (0.79%)

빗썸

04.24 06:26

95,972,000

▼ 590,000 (0.61%)

코빗

04.24 06:26

95,881,000

▼ 648,000 (0.67%)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