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10 | 01
23.3℃
코스피 2,593.27 56.51(-2.13%)
코스닥 763.88 10.61(-1.37%)
USD$ 1,319.6 -10.1
EUR€ 1,474.1 -12.0
JPY¥ 924.5 7.2
CNH¥ 188.7 -0.7
BTC 84,729,000 425,000(0.5%)
ETH 3,504,000 63,000(1.83%)
XRP 823.6 19.9(-2.36%)
BCH 458,500 5,700(1.26%)
EOS 691.8 11.6(-1.65%)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이지스자산운용, 2번째 '국내 주택시장 분석' 보고서 공개

  • 송고 2020.04.29 15:19 | 수정 2020.04.29 15:20
  • 김채린 기자 (zmf007@ebn.co.kr)

'현재 주택시장 가격은 거품인가' 발표

국내 주택시장은 과거 일본과 같은 거품 붕괴 가능성 적어

ⓒ이지스자산운용

ⓒ이지스자산운용

이지스자산운용 리서치센터가 29일 '현재 주택시장 가격은 거품인가'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을 다뤘다. 최근 주택 주요 수요층인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와 인구고령화에 따라 과거 일본과 같은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제기되고 있어서다. 실제 일본의 주택가격은 거품 붕괴가 나타난 1991년부터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유사한 추세를 보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주택 거품은 1986년부터 시작돼 1991년에 하락세가 나타났다. 주된 원인은 금융정책의 급격한 변화와 많은 공급이다.

일본은 1986년부터 87년까지 경기활성화의 일환으로 정책금리를 5%에서 2.5%로 인하하고 주택가격 이상으로 대출(LTV 120%)을 시행하면서 과도한 자금 유동성이 부동산의 거품을 발생시켰다.

이 시기 주식은 연 28% 상승했다. 주거용 지가지수 역시 연 23%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그러나 1989년부터 거품을 잡기 위해 2년이 채 안 되는 기간동안 금리를 2.5%에서 6%로 대폭 인상하고 신규 대출을 막는 대출총량규제의 급격한 정책변화가 시행되면서 본격적으로 주택가격의 하락이 시작했다. 거품이 붕괴된 1991년부터 2008년까지 연 100만호 이상의 주택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주택가격이 장기간 회복되지 않는 상황이 됐다.

일본 주택가격 변화의 원인은 생산가능인구 비중의 감소가 아니다. 실제 일본을 제외한 OECD 국가의 자료를 보면 큰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OECD국가의 인구 1000명 당 주택수를 보더라도 국내는 하위에 속하고 있어 대규모 공급에 의한 침체 가능성도 크지 않다.

이지스자산운용은 "국내 금융정책은 일본과 달리 완만한 변화를 기록중"이라며 "전세와 보증금을 활용해 주택을 매입하기 때문에 금융정책 변화로 인한 소유주의 대출부담이 크지 않아 급격한 가격하락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2018년 기준 전국 104.2%, 서울 95.9%의 주택보급률을 보여 주택공급이 충분한 것 같아 보이지만 사실 주택보급률 100%란 누군가 이사를 가야만 다른 누군가가 이사를 올 수 있는 여유가 없는 경직된 시장을 의미한다"고 부연했다.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지스자산운용 홈페이지 '리서치 - 인사이트'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3.27 56.51(-2.1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10.01 16:01

84,729,000

▲ 425,000 (0.5%)

빗썸

10.01 16:01

84,618,000

▲ 361,000 (0.43%)

코빗

10.01 16:01

84,691,000

▲ 405,000 (0.48%)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