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9 | 21
23.3℃
코스피 2,593.37 12.57(0.49%)
코스닥 748.33 8.82(1.19%)
USD$ 1,331.8 0.8
EUR€ 1,486.2 6.6
JPY¥ 932.9 -1.5
CNH¥ 188.1 0.9
BTC 84,539,000 1,009,000(1.21%)
ETH 3,446,000 179,000(5.48%)
XRP 780 2.8(0.36%)
BCH 449,300 1,400(-0.31%)
EOS 694.7 18.8(2.78%)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소비자물가 5.1%↑…외환위기 이후 최고치

  • 송고 2022.12.20 10:00 | 수정 2022.12.20 11:01
  • EBN 김덕호 기자 (pado@ebn.co.kr)

한은,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식료품·에너지 물가상승 부담 커져

5%대 상승 당분간 지속 예상

ⓒ한국은행

ⓒ한국은행

올해 1~11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5.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제시한 물가안정목표(2%)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연간으로 보면 1998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20일 한국은행은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보고서'를 내고 물가상황에 대한 평가, 향후 물가여건 및 전망에 대해 밝혔다. 이 자료에는 근원물가 흐름, 주요국 물가상황, 에너지 수급여건 점검 현황도 다뤘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초 3%대에서 7월중 6.3%까지 급등했다. 이후 5%대로 다소 둔화됐다. 이 중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인 '근원물가'는 연초 2%대 중반에서 11월중 4%대 초중반으로 오름세가 꾸준히 확대됐다.


물가상승에는 글로벌 통화긴축, 중국 경기 부진, 주요국의 통화정책,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이 영향을 줬다.


특히 수입물가의 경우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았다. 원/달러 환율은 9월 하순 이후 1400원을 웃도는 높은 수준을 이어갔으며, 11월 이후 1300원대에서 등락중이다.


또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은 올해 6월 115.7%에 달하는 등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최근 80달러를 밑돌며 연초 수준으로 하락하면서 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내경제는 하반기 들어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둔화됐다. 민간소비는 고물가에 따른 실질구매력 저하, 금리 상승 등으로 최근 증가세가 완만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수출(통관 기준)은 주요국 경기 둔화, IT 경기 부진 등으로 10월 이후 감소로 전환하는 등 빠르게 둔화중이다.


비용 측면에서는 명목임금(1인당, 총액 기준) 오름세가 올해 2분기 이후 다소 둔화됐다. 상용직 정액급여는 3분기까지 오름세를 지속했다.


농산물가격은 3분기 발생한 집중호우·폭염 등의 영향으로 채소를 중심으로 크게 상승했다. 그러나 추석 이후 양호한 기상여건 등에 힘입어 빠르게 하락했다. 축산물가격은 6월 이후 오름폭이 지속적으로 축소중이다.


이처럼 유류가격 오름폭 축소 흐름과 가공식품 및 외식 물가의 높은 오름세가 맞물렸지만 개인서비스물가 상승폭이 더 커지면서 하반기 물가를 끌어 올렸다. 특히 전기·도시가스요금도 인상되면서 반기 기준으로 1998년 하반기(6.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한은은 향후 물가 여건에 대해 에너지·식량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글로벌 경기둔화로 유가 하방 압력이 커졌지만 OPEC의 대규모 감산 등 공급 불안 요인이 상존해 있다고 봤다. 또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곡물수출이 정상화되겠지만 이상기후, 경작비용 상승 등의 상방 요인이 혼재한다는 판단에서다.


한은은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5% 내외의 상승률을 이어가겠지만 석유류가격 오름폭이 축소되고 국내외 경기하방압력도 커지면서 오름세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개인서비스물가의 하방경직성, 일부 품목의 수급차질 해소 지연 등이 둔화폭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정리했다.


한은은 "향후 물가경로 상에는 유가 및 환율 흐름, 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 정도, 국내외 경기둔화 정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단기적으로는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상방압력과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하방압력이 상당부분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3.37 12.57(0.49)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9.21 09:28

84,539,000

▲ 1,009,000 (1.21%)

빗썸

09.21 09:28

84,498,000

▲ 848,000 (1.01%)

코빗

09.21 09:28

84,596,000

▲ 896,000 (1.07%)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