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10 | 25
23.3℃
코스피 2,594.24 13.21(0.51%)
코스닥 730.12 4.47(-0.61%)
USD$ 1,347.8 14.5
EUR€ 1,474.6 11.9
JPY¥ 903.1 8.4
CNH¥ 190.9 2.0
BTC 93,800,000 800,000(0.86%)
ETH 3,485,000 32,000(-0.91%)
XRP 732.4 2.3(0.32%)
BCH 503,000 15,650(3.21%)
EOS 652 0(0%)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가계대출 또 최대치…고금리에도 주택구입 여전

  • 송고 2023.08.09 12:00 | 수정 2023.08.09 12:00
  • EBN 박소희 기자 (shpark@ebn.co.kr)

7월 가계대출 전월 대비 6조원 증가

잔액 1068조원으로 사상최대 지속

[출처=연합뉴스]

[출처=연합뉴스]

지난달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담대 증가 금액은 6조원으로 전월 보다는 줄었지만 여전히 큰폭인 만큼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재부각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7월중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068조1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6조원 늘어 증가세를 지속했다. 지난달에 이어 잔액 기준 사상 최대치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담대가 전월 보다 6조원 늘어 큰폭의 증가세를 이어갔다. 주택 구입 자금 수요 증가가 원인이다. 다만 증가세는 둔화됐다. 지난달 증가폭은 6조9000억원 이었다.


윤옥자 한국은행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담대가 계속 증가할지 섣불리 내다보기 어렵다”면서도 “6월까지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여전히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고 통상 두세달 시차를 두고 대출 수요에 반영되는 만큼 주담대 증가가 지속될 수 있지만 대출금리가 높은 만큼 가계대출 상황은 지켜봐야한다”고 말했다.


전세자금대출의 경우 전세 수요 둔화로 인해 감소세로 전환됐다. 전월 대비 2000억원 줄었다.


[출처=한국은행]

[출처=한국은행]

기타대출은 높은 대출금리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에 따른 둔화 흐름이 지속됐다. 다만 분기말 효과 소멸과 주식투자 관련 자금 수요 등으로 감소폭은 축소됐다. 7월 기타대출은 전월 보다 100억원 줄어 잔액은 246조1000억원이다.


기업자금을 보면 7월 은행 기업대출은 계절적 요인과 은행의 완화적 대출 태도 등으로 전월 대비 8조7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6월에는 증가폭이 5조5000억원을 기록한 만큼 7월 증가폭이 두드러진다.


대기업대출은 전월 보다 3조8000억원 늘었다. 분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기업 운전자금 수요 등이 늘면서 전월 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중소기업대출 역시 4조9000억원 증가했다. 일부 은행의 대출 확대 노력과 기업의 부가가치세 납부 관련 자금 수요 등 때문이다.


회사채는 순상환이 지속됐다. 7월 회사채 순발행은 전월 보다 1조1000억원 감소했다. 상반기 중 차환자금이 선조달(발행)된 회사채의 만기가 도래하면서다.


7월 중 은행의 수신은 전월 보다 23조1000억원 줄어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전월 은행 수신이 38조4000억원이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은행의 수신 감소는 계절적인 요인이 크다. 윤 차장은 “은행은 재무 비율, 유동비율 관리를 위해 수시입출금식예금을 6월에 입금했다가 7월에 인출하기도 한다”며 “7월 부가가치세 납부 때문에 수시입출금식예금이 빠져나가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수시입출식예금은 전월 보다 36조6000억원 줄어 감소세로 전환했다. 계절적 요인 소멸과 7월 부가가치세 납부 등으로 기업자금 등이 유출되면서다.


정기예금은 가계자금을 중심으로 12조3000억원 늘었다.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상당폭 확대됐다. 전월 증가 규모는 3조3000억원인데 7월에는 18조8000억원 증가했다.


머니마켓펀드(MMF)는 전월 규제비율 관리를 위해 인출됐던 은행자금의 재예치, 국고여유자금 유입 등으로 15조1000억원 늘었다.


채권형펀드는 1조9000억원 늘고 주식형펀드는 1조1000억원 증가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4.24 13.21(0.51)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10.25 10:27

93,800,000

▲ 800,000 (0.86%)

빗썸

10.25 10:27

93,818,000

▲ 850,000 (0.91%)

코빗

10.25 10:27

93,803,000

▲ 824,000 (0.89%)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