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6 | 02
16.8℃
코스피 2,636.52 1.08(0.04%)
코스닥 839.98 7.99(0.96%)
USD$ 1385.0 8.0
EUR€ 1502.6 11.3
JPY¥ 880.6 2.7
CNY¥ 190.7 0.9
BTC 94,682,000 318,000(0.34%)
ETH 5,315,000 45,000(0.85%)
XRP 727.8 4.3(0.59%)
BCH 644,300 5,400(0.85%)
EOS 1,133 5(0.44%)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美 마이크론, 2Q 매출 8조 육박…“HBM3E 매출 발생”

  • 송고 2024.03.21 09:00 | 수정 2024.03.21 09:02
  • EBN 이남석 기자 (leens0319@ebn.co.kr)

2분기 매출 58억2000만 달러…전망치 53억5000만 달러 상회

실적 발표 후 뉴욕증시 시간 외 거래서 15% 급등

[출처=연합]

[출처=연합]

미국 최대 메모리 칩 제조업체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20일(현지시간)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2분기 실적과 3분기 전망치를 내놨다.


21일 반도체 업계와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2024 회계연도 2분기(12∼2월) 매출은 58억2000만 달러(7조8017억원), 주당 순이익은 0.42달러(563원)를 기록했다고 이날 밝혔다.


매출은 시장조사기관 LSEG가 집계한 월가 전망치 53억5000만 달러를 웃돌았다. 주당 순이익은 0.25달러 손실을 뛰어넘었다. 아울러 마이크론은 회계연도 3분기 매출은 66억 달러로 시장 전망치 60억2000만 달러를 10%가량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산자이 메로트라 마이크론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마이크론이 반도체 업계에서 인공지능(AI)이 제공하는 다년간의 기회에서 가장 큰 수혜자 중 하나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2024년에는 반도체 산업이 반등할 것이고 2025년에는 기록적인 매출 수준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마이크론은 고대역폭 메모리(HBM) 5세대로 알려진 HBM3E를 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에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부가가치·고성능 제품이다. 1세대(HBM)-2세대(HBM2)-3세대(HBM2E)-4세대(HBM3)-5세대(HBM3E) 순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HBM3E는 HBM3의 확장 버전이다.


마이크론은 “지난 2분기 HBM3E으로부터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했다”며 “이 반도체는 엔비디아 AI 가속기의 일부”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24 회계연도에 HBM 제품으로부터 수억 달러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2025년에도 HBM의 생산량 대부분이 이미 판매 계약이 끝났다고 밝혔다.


한편 실적 발표 후 마이크론 주가는 뉴욕증시 시간 외 거래에서 15% 급등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36.52 1.08(0.04)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6.02 02:05

94,682,000

▲ 318,000 (0.34%)

빗썸

06.02 02:05

94,694,000

▲ 396,000 (0.42%)

코빗

06.02 02:05

94,722,000

▲ 422,000 (0.45%)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