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9 | 29
23.3℃
코스피 2,649.78 21.79(-0.82%)
코스닥 774.49 4.69(-0.6%)
USD$ 1,329.7 1.3
EUR€ 1,486.0 7.3
JPY¥ 917.3 -0.7
CNH¥ 189.4 -0.1
BTC 86,132,000 1,179,000(-1.35%)
ETH 3,502,000 83,000(-2.32%)
XRP 816.9 38.9(5%)
BCH 460,000 19,000(-3.97%)
EOS 702.9 18.1(-2.5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EBN 칼럼] 화석연료, 전기, 수소의 공존 시대

  • 송고 2024.06.24 09:00 | 수정 2024.06.24 09:00
  • 외부기고자

권용주 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 겸임교수

권용주 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 겸임교수

권용주 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 겸임교수

미국 정부가 2031년까지 자동차 제조사들이 맞춰야 할 ℓ당 평균 효율을 당초 계획했던 24.7㎞에서 21.5㎞로 낮췄다. 미국 내 자동차산업의 일자리 및 제품 가격 상승에 따른 소비자 부담론이 바이든 정부를 강력히 압박해 나타난 현상이다. 미국 내 자동차 제조사들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기준미달 차를 팔았을 때 내야 하는 벌금 부담이 대폭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환경단체들은 반발한다. 이미 ‘탄소 중독’ 국가인 미국이 스스로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의지를 잃었다고 비판한다. 더욱이 규제 완화는 오히려 미국 내 친환경차 제품 경쟁력을 떨어뜨려 궁극적으로 미래 모빌리티 발전 속도를 늦출 것이라고 경고한다. 미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가 친환경으로 돌아서는 마당에 미국만 내연기관 시대의 연장을 고집하는 것은 어리석은 정치적 판단이라고 쏘아 붙인다.


흥미로운 점은 자동차 제조사들의 보이지 않는 속내다. 미국 정부의 연비 규제 완화를 환영하면서도 한편에선 BEV 확대에 매진한다. GM은 자율주행 기업 크루즈에 1조1000억원을 추가 투자하는데 완성된 지능을 우선 적용할 대상 차종은 BEV다. PHEV 확대에도 나선다. 미국 소비자들의 여전한 내연기관 선호 현상을 맞추되 미래적 관점에서 BEV는 결코 늦출 수 없고 포기할 수도 없는 탓이다.


그러는 사이 한국과 중국은 글로벌 시장 곳곳에서 BEV 선점 경쟁을 펼치는 중이다. 특히 BEV의 핵심인 배터리 부문은 서로의 영역을 수시로 침범한다. 한국은 중국이 주력했던 저가형 배터리의 빠른 확산이 부담이고, 중국은 한국의 고가 배터리 부문에 힘을 주는 모양새다. 동시에 두 나라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앞다퉈 개발한다. 중국이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에 먼저 나서는 듯 보이지만 한국은 기술적으로 우위에 있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완성하려 한다. 물론 가격은 저렴하되 당장 사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전고체 배터리도 준비 중이다.


한국과 일본을 비롯해 세계 곳곳에선 수소 부문도 집중 육성하려 한다. 중국 또한 수소 측면에선 매우 진전이 빠른 나라지만 이미 상용화로 수송 부문의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을 지배하려는 곳은 영국, 한국, 일본 등이다. 영국은 수소의 생산 및 저장에 국가 예산을 집중 투입해 궁극적으로 수소 생산 비용을 낮추려 한다. 경제성이 담보되면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발생해 수소 사회가 빠르게 실현될 것으로 판단한 결과다. 일본은 수소의 생산, 저장, 유통 인프라 구축에 집중한 후 빠르게 수소 모빌리티 숫자를 늘려가고 있다. 반면 한국은 수소 전기차를 먼저 등장시켰고 이후 ‘생산-저장-유통’ 인프라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다. 그만큼 ‘탄소 사회’가 ‘수소 사회’로 전환될 것이란 예측에는 어느 누구도 토를 달지 않는다.


그래서 수송 부문의 에너지 전환은 한마디로 화석연료와 친환경 에너지의 싸움이다. 하지만 ‘탄소 중독’을 ‘탄소 중립’으로 바꿔야 한다는 점은 시간이 흐를수록 친환경 에너지 쪽으로 무게 추가 기울어진다는 의미와 같다. 각 나라의 친환경 모빌리티 전략 또한 기울기의 각도만 다를 뿐 본질은 다르지 않다는 의미다. 모든 나라가 친환경 모빌리티로 선회 중이지만 특정 시점에 과연 얼마나 많은 이동 수단이 전동화에 올라탈 것인지 제조사마다 예측이 다르다는 뜻이다.


최근 몇 년 사이 전동화 전환 속도가 빨랐다가 잠시 주춤하는 것을 두고 말이 많지만 수송 부문의 동력 전환은 하루 아침에 완성되지 않는다. 제조사마다 걸음 속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배경이기도 하다. 미국의 내연기관 규제 완화는 미래 예측이 아닌 '지금 이순간'이라는 현실 정치의 산물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선거가 끝나면 규제는 언제든 다시 강화될 수 있다는 말이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49.78 21.79(-0.82)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9.29 01:44

86,132,000

▼ 1,179,000 (1.35%)

빗썸

09.29 01:44

86,169,000

▼ 1,108,000 (1.27%)

코빗

09.29 01:44

86,165,000

▼ 1,185,000 (1.36%)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