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親) 4차 산업혁명 행보…"공인인증에 블록체인 활용"
'드론' 활용 국유재산 총조사도…무단점유율 경감 효과
캠코가 4차 산업혁명의 근간이 되는 기술들로 업무 효율성의 극대화를 꾀한다. 국내 최초 '국유재산 총조사'에 드론을 투입한 데 이어 공공자산 처분 시스템 '온비드'에 블록체인을 접목할 방침이다.
문창용 캠코 사장은 2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에서 "드론 특허를 통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며 "이어 공적매각시스템인 온비드에 블록체인을 적용하고 활용하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문 사장은 "부동산 전자계약을 통한 임대·매각에 공인인증을 하는 과정에 대해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고 부연했다.
실제로 블록체인은 기존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은 분산 장부(distributed ledger) 기술로 중앙집중화된 서버가 아닌 참여자 간 합의와 분산저장을 통해 인증서의 위·변조를 방지한다.
참여자 전원이 장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부 변조를 통해서는 거래 위조가 어렵다. 인증 과정에 도입된다면 개인정보와 거래내역이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되기 때문에 공인인증서에서 발생하는 중앙 서버 해킹 위험을 없앨 수 있다.
온비드는 캠코가 공공자산을 매각하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입찰이나 계약 등의 절차를 진행하는 시스템이다. 입소문을 타면서 인기다. 2017년 한 해 이용자 수가 총 21만8000명에 달해 지난 2002년 서비스를 개시한 이후 처음으로 연인원 20만명을 돌파했다. 누적 입찰참가자수 157만명, 누적 낙찰금액도 65조원을 기록했다.
이처럼 온비드 이용자 규모가 커지는 만큼 블록체인을 도입한 시스템 고도화로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용자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풀이된다.
문창용 사장의 친(親) 4차 산업혁명 행보는 이뿐만이 아니다.
캠코는 올해 각 중앙관서 소관의 행정재산 193만 필지에 대한 미활용 여부를 일제 확인, 점검하는 국유재산 총조사를 펼치고 있다. 이는 국내 최초 행정재산 전수조사다. 단년도 국유재산 현황 조사로는 최대 규모다. 조사관이 일일이 현장을 방문하거나 항공사진을 통한 기존 방식으로는 시간과 비용이 수직상승할 수밖에 없다.
이에 캠코가 도입한 방법은 소형 무인비행기인 '드론'이다. 국내 최초로 특허 등록한 드론을 활용한 조사 및 모바일 앱을 활용한 인력조사를 병행 실시하고 있다.
캠코가 추진하는 드론영상은 항공 또는 위성 영상과 달리 측량오차가 3~10cm 수준의 고정밀·고해상도의 영상지도다. 특히 모든 관점에서 90도 직각의 뷰를 제공하는 정사영상(Orthophoto)이다. 3차원 입체영상 제작도 가능해 정확하고 신속한 재산조사가 가능하다. 캠코의 드론 활용 토지조사시스템은 지난 2년간의 연구 끝에 고안됐다.
이 같은 장점을 가진 드론 30대와 인력 1000여 명을 투입, 지난 5월 국유재산 총조사 발대식이 열린지 한 달 만인 이달까지 약 77만필지(40%)를 조사했다. 연말까지 완료 예정이다. 완료시 국가단위 대규모 드론영상 제작의 세계 최초 사례가 된다.
특히 캠코가 관리하고 있는 국유재산의 무단점유율은 2014년 6월 15.15%까지 오를 정도로 심각했으나, 드론을 통한 조사로 무단점유율도 경감할 수 있게 됐다.
문 사장은 "193만 필지는 여의도 면적의 170배 규모에 달하는데, 무단점유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발견하는데 드론이 상당히 도움이 되고 있다"며 "드론은 사람이 직접 가기 어려운 부분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국유재산 총조사뿐 아니라 일반재산 관리도 무단점유율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