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위주 '한국P2P금융협회'·개인신용 주축 '디지털금융협회' 이원화
김성준 렌딧 대표 "법제화 따라 협회 일원화 될 것…지금은 '논쟁' 필요"
P2P(개인 간 거래)금융을 대표하는 협회로 누가 적합한지를 가리는 '적통 경쟁'이 본격화됐다. 현재 P2P협회는 부동산P2P 위주의 '한국P2P금융협회'와 신용대출P2P 주축의 '디지털금융협회'가 이원화돼 있다. P2P법제화에 따라 단일협회가 만들어진다면 이 중 한 곳은 편입돼야 한다. 양 협회는 굽히고 들어갈 의중이 없어 보인다.
디지털금융협회 준비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성준 렌딧 대표는 19일 서울 강남구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엔스페이스에서 세미나를 마치고 기자와 만나 "법제화에 따라 법정협회가 명시됐을 땐 당연히 협회가 하나가 돼 메시지를 통일하고 일원화하는 게 필요하다"며 "P2P협회의 일원화는 법정협회가 법제화 됐을 때 강제화 될 것이기 때문에 늦지 않다"고 말했다.
한국P2P금융협회장인 양태영 테라펀딩 대표도 "P2P금융 법제화가 이뤄져 정식 제도권으로 들어오는 시점에는 양분된 협회도 하나로 합쳐져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국회에 발의된 P2P업 관련 법안은 5건이다. 입법과 함께 P2P대출의 법적근거가 마련되면 금융당국의 관리를 받는 제도권 금융으로 편입된다. 은행권의 '은행연합회', 여신업권의 '여신금융협회' 등 단일 협회처럼 P2P금융권도 양 협회 중 한 곳을 인가할 가능성이 크다.
양 협회가 발표한 자율규제안과 회원사들의 성격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 만큼, 양 협회장의 일원화 발언에는 '자신들 협회 위주의'라는 전제조건이 있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테라펀딩은 국내 1위 부동산 P2P 대출 기업이며, 렌딧도 개인신용 대출 부문에서 45%의 점유율로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협회가 이원화되면 각 협회의 수적 규모도 줄어드는 만큼 금융당국과의 협상력, 메시지의 통일성 등도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도 P2P업계는 금융당국의 보수적인 태도로 교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얘기가 많다.
김성준 대표는 이와 관련해 "지금 저희 산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보니 안정화가 안 돼 있고, 어떤 방향으로 가는 게 맞는지도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다양한 메시지들이 활발하게 나와야한다"며 "단순히 당국과 협상력을 생각하기 전에 근본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갖는 게 맞냐는 점에서 논쟁이 많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답했다.
협상력 등의 요건 이전에 어느 방향으로 P2P금융이 성장해야 하는지, 양 협회 간 '옳고 그른' 당위성 논쟁이 선행돼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양 협회의 분절은 대출 구조가 달라서다. 렌딧은 지난 4월 "대다수의 협회사와 산업의 본질에 대해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고, 협회의 전반적인 운영 방향성에 공감하기 어렵다"고 밝히며 한국P2P금융협회를 탈퇴했다. 당시 협회 이사회는 신용대출 전문 업체와 부동산 전문 업체의 입장이 자주 충돌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렌딧은 개인신용, 소상공인 전문 P2P사인 8퍼센트, 팝펀딩과 디지털금융협회 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 한국P2P금융협회는 회원사 대출 31%가 부동산PF, 36%가 부동산담보대출이다. 이 중 한 협회의 흡수는 수익구조인 대출 포트폴리오의 변화에도 일정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디지털금융협회는 자율규제안에 건축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자산 비중을 30%로 설정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부동산PF 전문업체는 대출 포트폴리오를 뜯어고치지 않는 이상 가입하기 어려운 조건이다.
한국P2P금융협회의 자율규제안엔 '대출자산 신탁 의무화' 방안이 없다. 양태영 대표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디지털금융협회가 밝힌 대출자산 신탁화는 금융사들이 쉽게 할 수 있는 게 아닌데 이를 조건으로 가져간다면 가입할 수 있는 회원사들이 많이 없을 것"이라며 "협회는 전체 산업을 커버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소형업체는 비용구조 상 대출 신탁화가 어렵다는 얘기다.
디지털금융협회는 부동산PF 자산 제한의 근거로 '저축은행 부실사태'를 들었다. 저축은행이 부동산 PF에 과도하게 자금을 댔다가 부동산 경기 침체로 회수하지 못하면서 부실 저축은행이 정리된 사태다.
타 금융업법에서는 부동산PF 자산에 대한 신용공여 비율규제를 적용하고 있는 만큼, P2P금융업 역시 부동산 쏠림 현상 등 동일한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규제를 마련했다는 게 디지털금융협회의 입장이다.
반면 양태영 대표는 부동산PF 대출을 통해 영세한 시공사들에게 중금리로 대출을 내주며 서민들이 주로 구입하는 주택의 질이 향상되는 '서민 금융'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김성준 대표가 이끄는 디지털금융협회는 한국P2P금융협회보다는 출범 시기 자체가 다른 만큼 수적으로는 열세지만, 저축은행 부실사태 언급과 건전성 강화라는 '명분'에서 우위를 가지려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에도 호소력을 가질 수 있다.
김 대표는 "2007년 P2P금융을 처음 도입한 영국의 경우 대출 자산비율이 개인신용대출 50%, 부동산대출은 20%가 안 되고 미국은 개인신용대출 60% 이상, 소상공인 35%, 부동산 5% 이하"라며 "그러나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P2P산업은 부동산 대출이 전체의 65%, 개인과 소상공인대출이 35%로 부동산 쏠림이 심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금융협회는 이달 말 이후부터 협회를 공식 발족하고, 회원사 모집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부동산 담보대출과 부동산 개발 PF는 구분돼야 한다. 부동산 담보대출은 담보비율에 따라 신용대출보다 안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협회 세 확장을 염두에 둔 것으로 읽힌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