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차량용 반도체 산업, 미국·일본·독일 대비 협소
자율주행용 AI 반도체 등 미래형 중심 생태계 구축해야
차량용 반도체의 글로벌 공급 부족이 잇단 자연재해와 사고로 장기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관련 생태계를 키워야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9일 발표한 ‘국내 차량용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현황 및 강화방안’에서 주요국의 자동차 및 차량용 반도체의 세계 점유율을 비교해본 결과 자동차 생산 대수 기준으로 미국이 11.7%, 일본 10.5%, 독일 5.5%였고, 수출액 기준으로 미국 8.1%, 일본 11.9%, 독일 17%를 나타냈다.
차량용 반도체 매출액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미국 31.4%, 일본 22.4%, 독일 17.4%로 세 국가 모두 자동차 생산 및 수출 점유율과 비슷하거나 크게는 3배 이상 높았다.
우리나라는 자동차 생산 세계시장 점유율이 대수 기준으로 4.3%, 수출액 기준 4.6%인 반면 차량용 반도체 매출액의 세계 점유율은 2.3%로 자동차 생산 및 수출 점유율에 비해 절반 정도 작아 주요국과 대조를 이뤘다.
무역협회 이준명 수석연구원은 "우리나라 차량용 반도체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것은 시장 진입장벽이 높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려운데다 타 산업용 반도체 대비 마진율도 낮기 때문"이라며 "국내 반도체 기업의 70% 이상은 가전 및 IT기기용 첨단공정 위주인데 차량용 반도체는 구형 공정을 주로 활용하기 때문에 단기간 내 증산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트렌드가 차량 내 전기·전자부품 및 소프트웨어의 확대, 차량 연결 및 통신 네트워크 고도화, 자율주행으로 옮겨가면서 앞으로 차량용 반도체의 부가가치는 더 커질 것”이라며 “자동차 산업의 수요를 뒷받침하기 위해선 우리가 강점을 지닌 분야를 중심으로 차량용 반도체 산업의 기초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및 자율주행,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기능에 활용되는 고성능·고부가가치 반도체의 생산역량 확보와 인공지능 및 반도체 등 포트폴리오의 다각화가 필요하다”면서 “국내외 기술 협력, 로봇,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산업 간 경계가 무너지고 있는 기술환경 변화에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이 수석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세계 7위 규모의 자동차 산업과 세계 시장의 18.4%를 차지하는 반도체 산업을 보유한 국가로 차량용 반도체의 안정적 수요처와 잠재적인 공급처가 함께 존재해 그만큼 성장 잠재력도 뛰어나다”면서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해 이상기후, 화재, 지진 등 예측할 수 없는 사고로 인한 공급부족 사태에도 대비하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