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10 | 13
23.3℃
코스피 2,596.91 2.25(-0.09%)
코스닥 770.98 4.5(-0.58%)
USD$ 1,347.8 14.5
EUR€ 1,474.6 11.9
JPY¥ 903.1 8.4
CNH¥ 190.9 2.0
BTC 85,076,000 717,000(0.85%)
ETH 3,337,000 44,000(1.34%)
XRP 726.4 0.6(-0.08%)
BCH 443,950 1,900(0.43%)
EOS 641.4 3.5(-0.54%)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수도권 청약 미달 단지 줄었지만…대출 규제후 '양극화 심화'

  • 송고 2016.08.23 16:02 | 수정 2016.08.23 16:02
  • 서호원 기자 (cydas2@ebn.co.kr)

3년 새 수도권 청약 미달단지 비율 큰 폭↓

집단대출 규제 후…서울·경기 분양시장 양극화 심해져

서울의 한 재건축 단지.ⓒEBN

서울의 한 재건축 단지.ⓒEBN

최근 3년 사이 수도권 청약 미달단지 비율이 줄었든 반면 집단대출 규제 이후 단지 별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다. 국지적인 공급과잉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2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6년(1월~8월12일 누적) 수도권 내 청약 미달단지 비율은 18.46%(24곳·130곳)로 나타났다. 수도권 청약 미달단지 비율은 △2010년(56.91%) △2011년(60.61%) △2012년(48.24%) △2013년(46.09%)으로 절반 수준의 높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2014년(25.50%) △2015년(15.90%) 큰 폭의 개선을 보였다.

올해 분양시장으로 투자수요가 쏠리며 수도권에서도 서울의 미달단지 감소현상은 뚜렷하다. 2010년 서울에서 47개 단지가 분양했지만 19개 단지의 청약이 미달된 바 있다. 반면 2015년50개 단지 중 단 2곳만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에도 1~8월까지 전체 23개 분양 단지 중 2개 단지만 청약 미달을 기록했다.

강서구 마곡지구 이후 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중심으로만 신규물량이 분양되면서 수요 대비 일반 공급이 적었기 때문이다.

반면 재건축 등의 정비사업 중심의 공급이 아닌 신도시나 공공택지 중심으로 분양되는 경기도 일대는 미달단지 비율이 점차 늘어나는 분위기다. 올해 청약 미달된 전체 24개 단지 중 21곳이 경기도에 위치했다.

경기도는 택지지구 공급 중심으로 전체 가구가 일반에 모두 분양돼 수요대비 공급이 많기 때문이다. 단기간 공급이 크게 늘었던 경기도 용인과 화성, 평택, 안성 등에서는 청약미달 단지와 미분양주택이 동반해 늘어나고 있다.

정부의 중도금 집단대출 규제가 도입된 이후 수도권 청약시장의 단지 별 양극화 현상이 더 심해졌다는 셈이다. 상반기에는 대출규제가 덜한 분양시장에 청약수요가 다수 유입됐지만, 정부의 집단대출 규제 이후에는 입지환경이나 분양가 매력이 높은 알짜 단지를 중심으로만 청약수요가 쏠리고 있다.

이에 수요대비 공급량이 여전히 부족한 서울은 수십 대 일의 청약경쟁이 지속되고 있다.

올 상반기 대림산업 '아크로 리버하임'의 1순위 청약은 평균 89.5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주택형 1순위로 마감했다. 지난 3월 강남 개포지구에서 처음 분양한 삼성물산 '래미안 블레스티지'(개포주공2단지 재건축)가 평균 청약 경쟁률 33.6대1을 보였다.

특히 일반공급 317가구 모집(특별공급 제외)에 총 1만660명이 몰려 모든 가구가 1순위에서 청약 마감했다.

이처럼 분양시장 쏠림의 원인으로는 정부 규제완화와 저금리의 시너지효과가 꼽힌다. 박근혜 정부는 2013년 취임 이후 부동산시장과 분양시장에 우호적인 정책들을 다수 발표했다.

2013년 4·1대책을 통해 공공분양 물량의 축소방침을 발표했고 이후 분양가 상한제 신축운영 및 폐지, 신도시(택지지구) 신규개발 제한, 주택담보대출(LTV, DTI) 규제완화 등 민간 분양시장에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대책들을 쏟아냈다.

윤지해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수도권 청약시장의 단지 별 양극화는 경기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인 공급과잉을 유발해 2017년~2018년 수도권 입주물량 증가와 더불어 준공 후 미분양주택(악성 미분양)에 대한 우려감을 높이는 요인이다"고 전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6.91 2.25(-0.09)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10.13 08:23

85,076,000

▲ 717,000 (0.85%)

빗썸

10.13 08:23

85,079,000

▲ 684,000 (0.81%)

코빗

10.13 08:23

85,047,000

▲ 536,000 (0.63%)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