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11 | 01
23.3℃
코스피 2,554.05 2.1(-0.08%)
코스닥 733.32 9.74(-1.31%)
USD$ 1,347.8 14.5
EUR€ 1,474.6 11.9
JPY¥ 903.1 8.4
CNH¥ 190.9 2.0
BTC 96,780,000 3,727,000(-3.71%)
ETH 3,495,000 189,000(-5.13%)
XRP 717.7 6.7(-0.92%)
BCH 489,750 26,950(-5.22%)
EOS 614 23(-3.6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정유‧조선‧車 "업황 회복세, 코로나 재확산이 또 발목"

  • 송고 2021.07.19 06:00 | 수정 2021.07.18 11:38
  • EBN 손병문 기자 (moon@ebn.co.kr)

9개 주력 제조업 하반기 매출 소폭 증가...내수는 수출보다 부진

기저효과 감소, 델타 변이 확산 등 상반기보다 하반기 실적 둔화

원자재 가격·수급 안정화 지원, 환경 규제 리스크 최소화 필요

ⓒ

우리나라 주력 제조업의 올해 하반기 매출액과 수출액은 2020년 및 2019년보다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대비 기저효과가 줄고 업종별 편차도 클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국내 수출 주력업종별 협회 정책 담당 부서장을 대상으로 '2021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조사'를 통해 9개 주력 제조업의 최근 2년간 경영실적 대비 하반기 전망을 진단했다.


설문조사 참여 기관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자동차산업협회, 석유화학협회, 대한석유협회,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자동차산업협동조합, 바이오협회, 섬유산업연합회, 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등이다.


◆코로나19 이전 수준 업황 회복 “정유·조선·자동차 업종 어려워”


조사 대상 제조업의 올해 하반기 매출액은 전체 평균 기준으로 2020년 및 2019년 대비 모두 개선(각각 8.9%, 2.5% 증가)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정유 조선 자동차’ 등 일부 업종의 매출액은 코로나 발발 전인 2019년 하반기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업종별 2019년 대비 2021년 하반기 매출액 전망 ⓒ전경련

업종별 2019년 대비 2021년 하반기 매출액 전망 ⓒ전경련

정유업종은 코로나 장기화로 항공유를 중심으로 주요 석유제품의 수요 회복 지연에 따른 역성장이 예상된다.


조선업종의 경우 선박 신규 수주 실적이 매출에 반영되기까지 2~3년 정도 시차가 발생하는 특성상, 최근 수주 증가가 즉시 실적개선으로 이어지긴 어려울 전망이다. 자동차산업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 문제 지속과 내수 판매의 상대적인 부진이 우려된다.


반도체와 석유화학은 2019년 대비 20% 이상의 매출 성장이 예상됐다. 반도체는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수요 지속 및 가격 상승, 대형 데이터센터용 서버 반도체 수요 확대 수혜가 예상된다. 석유화학은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제품가격 상승효과와 전방산업의 수요 회복이 반영됐다.


이 외에 ▲바이오헬스(코로나 진단키트 등 수요 지속) ▲가전(집콕 소비 증가에 따른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 ▲섬유(마스크 등 방역용품 수요 지속) 업종도 2019년 하반기 대비 올 하반기에 소폭의 실적개선이 예상됐다.


전경련 관계자는 “2019년보다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의 경우 대체로 코로나 관련 제품의 소비 확대 효과가 반영된 것"이라며 "코로나에 따른 기저효과와 특수성으로 인한 외관상 성장을 배제한다면 업종에 따라 본격적인 수요 회복과 경영실적 개선으로 보기엔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언급했다.


주력 제조업 업종별 위험요인(좌), 우리나라 기업 경쟁력 제고 정책(우) ⓒ전경련

주력 제조업 업종별 위험요인(좌), 우리나라 기업 경쟁력 제고 정책(우) ⓒ전경련

◆하반기 제조업 실적 증가율 상반기보다 둔하


9개 주력 제조업의 올해 상반기 전체 평균 매출액은 2020년 대비 14.4%, 2019년 대비 6.0% 증가했다. 수출액은 각각 32.7%, 1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매출액의 경우 2020년 대비 8.9%, 2019년 대비 2.5%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수출액은 각각 20%, 12.3% 증가할 것으로 점쳐진다.


주력 제조업의 하반기 실적 증가율은 상반기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수요 확대에도 불구하고 기저효과 감소 및 델타 변이 등 코로나의 국지적 확산에 따른 교역 부진으로 성장세가 둔화할 것이란 예상이다. 또한 내수 위축으로 인해 매출액 예상 증가율은 수출액 증가율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 제조업의 위험요인으로 ‘유가 등 원자재 리스크’가 가장 큰 것(33.4%)으로 나타났다. 이어 ▲정책 리스크(18.5%) ▲노동 리스크(11.1%) ▲물류·운송 리스크(11.1%)로 조사됐다. 기타의견으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상향’도 리스크 요인으로 제기됐다.


전경련은 제조업종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원자재(Raw Material)’, ‘규제(Regulation)’, ‘노동(Labor)’, ‘물류(Logistics)’ 등 ‘2R2L’로 요약했다. 원재료비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 국내외 규제 강화 대응, 노동 경직성, 선박 및 컨테이너 수급난, 물류 운임 상승에 따른 기업 부담이 큰 것으로 진단했다.


우리나라 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로 ▲기업 투자활동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37.1%) ▲기업 규제 완화(22.2%) ▲노동유연성 확대 및 임금 안정화(11.1%)를 지목했다. 그밖에 ‘원자재 수급 안정화 지원’, ‘온실가스 감축 및 환경규제의 합리적 수준 설정’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 재확산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제조업이 고군분투해 선방하고 있지만 국제원자재 가격과 물류비용이 급등하고 부품소재 수급도 불안정한 상황"이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고 탄소중립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한 부담도 큰 만큼 산업구조 개편과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강구하고 관련 규제를 완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54.05 2.1(-0.08)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11.01 13:36

96,780,000

▼ 3,727,000 (3.71%)

빗썸

11.01 13:36

96,811,000

▼ 3,706,000 (3.69%)

코빗

11.01 13:36

96,800,000

▼ 3,745,000 (3.72%)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