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5 | 29
24.1℃
코스피 2,677.30 45.55(-1.67%)
코스닥 838.45 12.56(-1.48%)
USD$ 1366.0 2.0
EUR€ 1482.9 1.6
JPY¥ 869.1 1.1
CNY¥ 187.9 0.2
BTC 94,100,000 1,208,000(-1.27%)
ETH 5,284,000 151,000(-2.78%)
XRP 735.4 0.6(-0.08%)
BCH 651,300 7,200(-1.09%)
EOS 1,134 1(0.09%)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지방건설사 줄도산 위기…법정관리에 부도 연이어

  • 송고 2024.05.08 15:04 | 수정 2024.05.08 15:06
  • EBN 김창권 기자 (kimck2611@ebn.co.kr)

‘보증 사고’ 한국건설, 결국 회생절차 돌입

부산 기반 중견건설사 2곳도 부도 처리돼

종합건설업 등록 업체보다 폐업 신고 많아

서울 지역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기사와 무관. [제공=연합]

서울 지역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기사와 무관. [제공=연합]

지난 2월 중도금대출 이자를 못내 보증사고를 일으킨 광주광역시 기반 중견건설사 한국건설이 결국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지방건설사들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한국건설이 지난달 29일 광주지방법원에 대표 이사 명의로 법인 회생절차 개시 신청을 내면서 이른바 법정관리 절차에 들어갔다. 한국건설은 회생 시작 전 자산 동결 절차인 포괄적 금지명령도 함께 신청함에 따라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는 법원 허가 없이 회사 채권 회수와 자체적인 자산 처분을 할 수 없다.


한국건설은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 99위를 기록한 광주·전남 대표 중견 건설사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유동성 위기가 발생하면서 광주 북구 신안동, 동구 궁동·수기동 등 임대주택 사업장 3곳과 동구 산수동의 분양주택 사업장 1곳에서 중도금 대출이자 체납에 따른 보증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공정이 중단되는 등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맞았다.


여기에 더해 최근 부산지역 중견 건설업체 남흥건설과 익수종합건설 등 2곳도 최근 경영에 어려움을 겪다 부도 처리됐다. 남흥건설은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분산 25위, 전국 307위, 익수종합건설은 분산 29위, 전국 344위로 지역에서 준수한 건설사였지만 사세 위축으로 경영 위기를 맞은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설사들이 쓰러지면서 건설업계 전반으로 부실 위험이 전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종합건설사는 일부 시설물과 전문 분야 공사를 주로 하는 전문건설사에 도급을 주는 사례가 많아 전문건설사의 부실에도 영향을 미친다.


실제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폐업 신고 공고를 낸 종합건설사는 전국 187곳으로 집계됐다. 또한 전문건설사를 포함한 전체 건설사의 폐업 건수는 지난 4월까지 1284건에 달했다. 이는 2014년 같은 기간(1577건) 이후 10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이처럼 건설사 폐업 신고가 늘자 건설업이 쇠퇴기로 가는 전조현상일 수 있다며 이에 따른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전날 ‘건설산업 반등 가능한 경기 하락인가? 쇠퇴기로의 진입인가?’ 보고서를 통해 시장 이탈 업체 증가는 쇠퇴기의 전형적 특징으로 내수시장 충격 완화를 위한 대응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 건설산업은 진입장벽이 낮고, 다수 업체 보유가 입찰에 유리한 산업으로 업체수가 지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나 2024년 들어 종합건설업은 등록업체 수보다 폐업신고가 많아 업체 수 감소가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봤다.


다만 2010년대 초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인 경기악화로 종합건설업의 업체 수가 일시적으로 감소한 경우가 있어 이번 현상도 12년 만에 도래한 극심한 불황으로 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봤을 때 건설산업의 생애주기가 성숙기를 지나 쇠퇴기로 진입하는 전조 현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쇠퇴기의 진입이 너무 빠르게 진행되면 산업의 자연스러운 전환이 어려워 일자리의 급격한 감소와 구매능력 하락 등으로 인해 내수시장의 충격이 크고 사회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건설경기 부양, 장기적으로는 산업전환을 대비하는 선제적이고 현명한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77.30 45.55(-1.67)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5.29 19:14

94,100,000

▼ 1,208,000 (1.27%)

빗썸

05.29 19:14

94,138,000

▼ 1,089,000 (1.14%)

코빗

05.29 19:14

94,020,000

▼ 1,252,000 (1.31%)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