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6 | 26
31.1℃
코스피 2,790.14 15.75(0.57%)
코스닥 841.47 0.52(-0.06%)
BTC 86,845,000 745,000(0.87%)
ETH 4,780,000 23,000(0.48%)
XRP 667.8 3.3(-0.49%)
BCH 533,200 5,900(1.12%)
EOS 810.3 4.3(0.53%)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일자리가 복지다⑬] ‘빚더미에서 새 삶으로’…금융위, 채무·취업 ‘복합상담’

  • 송고 2024.06.17 06:00 | 수정 2024.06.17 13:53
  • EBN 김남희 기자 (nina@ebn.co.kr)

정부, 취약계층에 금융지원·채무조정에 더해 취업 안내까지
“민생안정·취약계층 인생 재건에 일자리가 우선 뿌리 내려야”
금융위·고용부, 서민금융·일자리 상담 위한 출장상담창구 마련
서민금융진흥원·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고용복지센터서 문의


금융당국이 취약계층에 금융지원과 채무조정을 제공한 데에서 나아가 취업 안내까지 정책을 확대했다. 민생안정과 취약계층의 인생 재건에 알맞은 일자리가 뿌리내려야만 해서다. 이로써 정책 서민금융과 채무조정 이용자 중 비정규 소득자나 무직자는 필수적으로 정부의 취업 지원을 받게 된다.[EBN 자료 사진]

금융당국이 취약계층에 금융지원과 채무조정을 제공한 데에서 나아가 취업 안내까지 정책을 확대했다. 민생안정과 취약계층의 인생 재건에 알맞은 일자리가 뿌리내려야만 해서다. 이로써 정책 서민금융과 채무조정 이용자 중 비정규 소득자나 무직자는 필수적으로 정부의 취업 지원을 받게 된다.[EBN 자료 사진]

흔히 ‘일자리가 복지’라고 말한다. 기본적으로 일자리가 없다면 인간으로서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기 힘들어서가 아닐까.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의 시대엔 더욱 그러하다. AI(인공지능)와 로봇, IoT(사물인터넷), 자율주행, 빅데이터 등 신기술이 속속 등장하면서 인간의 일자리가 위협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일자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건 두말할 나위가 없다. <EBN>이 연중 기획으로 일자리 문제를 재조명하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뉴노멀(새로운 기준)’ 시대를 맞아 일자리 변화를 들여다보고 새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해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금융당국이 취약계층에 금융지원과 채무조정을 제공한 데에서 나아가 취업 안내까지 정책을 확대했다. 민생안정과 취약계층의 인생 재건에 알맞은 일자리가 뿌리내려야만 해서다. 이로써 정책 서민금융과 채무조정 이용자 중 비정규 소득자나 무직자는 필수적으로 정부의 취업 지원을 받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2일 서울 중구 중앙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 방문해 소액 생계비 대출 운영 1주년 간담회를 통해 올해 9월부터 원리금을 전액 상환한 이용자에는 재대출을 받을 수 있게 하기로 했다. 이 대출 지원은 급전 50~100만원이 필요한 2030 청년 세대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대출 지원에 끝나지 않고 취업 상담을 받을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이 프로그램 이용자는 1년 동안 18만 명, 규모는 1403억 원 상당이다.


한 명당 57만 원 수준이었는데, 90% 이상이 신용평점 하위 10% 이하였고, 20~30대가 절반 가까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와 고용노동부는 부처 연계 지원 일환으로 지난 4월 8일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와 고용복지센터 소장, 상담직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금융·고용 복합지원 방안’ 이행을 위한 점검회의를 열고 현장 진행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점검의 핵심은 정책서민금융·채무조정 이용자 중 비정규 소득자나 무직자는 필수적으로 취업지원을 받게 된다는 점이다. 이번 회의는 대통령 주재 민생토론회 등을 거쳐 부처 간 협업과제로 선정된 복합지원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제공=금융위원회]

금융위와 고용노동부는 부처 연계 지원 일환으로 지난 4월 8일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와 고용복지센터 소장, 상담직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금융·고용 복합지원 방안’ 이행을 위한 점검회의를 열고 현장 진행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점검의 핵심은 정책서민금융·채무조정 이용자 중 비정규 소득자나 무직자는 필수적으로 취업지원을 받게 된다는 점이다. 이번 회의는 대통령 주재 민생토론회 등을 거쳐 부처 간 협업과제로 선정된 복합지원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제공=금융위원회]

이에 앞서 금융위와 고용노동부는 부처 연계 지원 목적으로 지난 4월 8일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와 고용복지센터 소장, 상담직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금융·고용 복합지원 방안’ 이행을 위한 점검 회의를 열고 현장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점검의 핵심은 정책 서민금융·채무조정 이용자 중 비정규 소득자나 무직자는 필수적으로 취업 지원을 받게 된다는 점이다.


이번 회의는 대통령 주재 민생토론회 등을 거쳐 부처 간 협업과제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이날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 정책에 대해 “이번 방안으로 서민금융을 이용하는 분들은 누구나 취업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민금융이나 채무조정 이용 시작 단계에서 비롯해 연체가 발생하거나 채무조정 상환이 곤란하신 분 등 이후 어려운 상황을 맞으신 분들께 적합한 고용지원제도를 다시 안내해 지속해 재기를 도울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정책을 함께 추진하고 있는 고용노동부 이성희 차관은 “고용·금융간 연계가 현장에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기 위해 필요한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말해달라”면서 “현장에서 생계의 어려움을 고용·금융 연계를 통한 일자리로 해결하는 성공사례를 적극 발굴해달라”고 실무자에 당부했다.


지난 1월 금융·고용 복합지원 방안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두 부처는 지난 3월 18개 고용복지센터에 서민금융·채무조정 상담을 위한 출장상담창구를, 13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 고용상담을 위한 출장상담창구 설치를 모두 마쳤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 정책에 대해 “이번 방안으로 서민금융을 이용하는 분들은 누구나 취업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민금융이나 채무조정 이용 시작 단계에서 비롯해 연체가 발생하거나 채무조정 상환이 곤란하신 분 등 이후 어려운 상황을 맞으신 분들께 적합한 고용지원제도를 다시 안내해 지속해 재기를 도울 예정”이라고 말했다.[제공=연합]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 정책에 대해 “이번 방안으로 서민금융을 이용하는 분들은 누구나 취업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민금융이나 채무조정 이용 시작 단계에서 비롯해 연체가 발생하거나 채무조정 상환이 곤란하신 분 등 이후 어려운 상황을 맞으신 분들께 적합한 고용지원제도를 다시 안내해 지속해 재기를 도울 예정”이라고 말했다.[제공=연합]

전체 서민금융·채무조정 이용자 80만여명 중 26만여명이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두 부처는 또 서민금융진흥원의 햇살론 유스나 신용회복위원회의 채무조정제도를 이용하는 청년에게 고용노동부의 청년 고용지원제도 안내를 시작했다.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통한 취업자 대상 정책서민금융 인센티브 시행도 시작했다. 근로자햇살론과 햇살론뱅크의 보증료를 0.1%포인트 내렸고 소액생계비 대출 연체자에 대해서는 알림톡 등을 통해 고용지원제도 안내를 우선 시행 중이다.


해당 정책 실무자인 금융위 성미라 서민금융과 사무관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서민분들이 생활비를 대출받아 급한 불을 끄되, 그것을 상환하고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신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으실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 추가 정보는 서민금융진흥원와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소액생계비대출과 복합상담(취업지원)에 대해 문의하면 된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최근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그 온기가 서민·취약계층까지 전달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거시 환경의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며 “서민·취약계층에 대한 두터운 보호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복합지원이 서민·취약계층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든든한 발판이 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의 긴밀한 협조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90.14 15.75(0.57)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6.26 15:15

86,845,000

▲ 745,000 (0.87%)

빗썸

06.26 15:15

86,755,000

▲ 739,000 (0.86%)

코빗

06.26 15:15

86,884,000

▲ 801,000 (0.93%)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