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10 | 13
23.3℃
코스피 2,596.91 2.25(-0.09%)
코스닥 770.98 4.5(-0.58%)
USD$ 1,347.8 14.5
EUR€ 1,474.6 11.9
JPY¥ 903.1 8.4
CNH¥ 190.9 2.0
BTC 84,650,000 77,000(0.09%)
ETH 3,317,000 18,000(0.55%)
XRP 723.7 1.5(-0.21%)
BCH 440,200 350(0.08%)
EOS 638.4 2.4(-0.37%)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홈플러스, 강서시대 열었지만...가시밭길 앞에선 김상현

  • 송고 2016.06.09 11:03 | 수정 2016.06.09 13:34
  • 김지성 기자 (lazyhand@ebn.co.kr)

본사 강서 이전 50일…살균제 수사 등 호된 신고식

공정위 220억원 과징금·편의점 갑질 논란 등 난제

김상현 홈플러스 대표(왼쪽)와 강서 신사옥 전경ⓒEBN

김상현 홈플러스 대표(왼쪽)와 강서 신사옥 전경ⓒEBN

김상현의 '홈플러스 강서시대'가 개막 50일을 맞았다. 강서시대 첫발을 내딛었지만 그의 앞길엔 악재만 첩첩산중이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에 따른 검찰 수사가 긴박하고, 공정거래위원회에선 수백억원대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런 가운데 홈플러스의 알짜배기 매장으로 소문난 5곳이 일괄매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여기에 편의점 '365플러스' 가맹점주들이 본사 갑질을 비난하며 무더기 해지소송을 제기했다. 홈플러스의 지휘봉을 잡은 김상현 대표의 앞길은 말그대로 가시밭길이다. 그가 이같은 난제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주목된다.

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서울 역삼동에서 사옥을 지난 4월 11일 강서구로 옮기고 '강서시대'로 새출발했다. 사옥 이전 50일을 맞은 홈플러스 임직원들은 요즘 희망보다는 걱정이 많다.

이날 김원회 전 그로서리 매입본부장·조모 전 일상용품팀장·이모 법규관리 팀장 등 홈플러스 관계자에 대해 전날 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는 소식 때문이다.

이들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와 관련해 모두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를 받고 있다. 또 해당 가습기 살균제 제품이 인체에 무해하다는 거짓 광고를 한 혐의(표시광고법 위반)도 받고 있다. 검찰은 홈플러스 제품으로 28명(사망 12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다고 보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 판매 당시 대표였던 이승한 전 홈플러스 사장은 이번 구속영장 청구에서 제외됐다. 직접적인 결재라인에 있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진 때문이다. 앞으로 미치게 될 검찰 수사의 영향과 재판 결과는 오롯이 새 사령탑인 김 대표가 짊어져야 할 몫이다.

김대표는 강서시대 개막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자리였던 지난 4월 26일 기자간담회에서 언론을 향해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에게 유감과 안타까움을 전한다"며 공식 사과한 바 있다. 김대표는 당시 늦장 사과이면서 구체적인 피해보상 계획이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 뒤 홈플러스는 '전담기구'를 마련해 놓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지만 아직까지 뾰족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시작에 불과했다. 5월 들어서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대규모 유통업법 위반 행위에 대한 시정명령과 220억여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검찰 고발조치도 취해졌다.

공정위는 홈플러스가 △부당한 납품 대금 감액 △부당한 인건비 전가·납품업자 종업원 부당 사용 △부당한 반품 △서면 교부 의무 위반 △경제적 이익 제공 요구 등의 위반행위를 했다고 밝혔다. 갑질행위가 무거웠다는 판단을 한 것이다.

홈플러스는 '겸허히 결과를 수용하고 시스템을 개선하겠다'는 공식입장을 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데 이번 공정위 발표가 나와 엎친데 덮친 격"이라고 말했다. '업친 데 덥친' 공정위의 갑질행태 적발은 홈플러스의 '이미지 추락'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검찰의 수사 전개에 따라 파장은 계속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유동 자금 확보를 위해 가좌점·김포점·김해점·동대문점·북수원점 등 총 5개 점포의 일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세일즈 앤드 리스백 방식의 매각이다.

일부 점포 매각은 홈플러스에게 딜레마를 안겨 줄 것으로 보인다. 매각이 성사되면 홈플러스 입장에서는 임차료 상승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새로운 매수자들에게 매월 임차료를 제공해야 하는만큼 임차료 상승은 판매관리비와 같은 고정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매각이 불발로 끝나게 되도 우려는 남는다. 지난해 7조2000억원을 들여 홈플러스를 인수한 MBK파트너스는 금융권으로부터 차입한 자금의 분할상환을 위해 자산유동화가 필요하다. 거론된 5개 점포 매각이 안 되면 홈플러스의 또 다른 자산이라도 시장에 내놓아야 한다. 구조조정과 자산매각 이야기가 끊이지 않고 있는 홈플러스의 경영불확실성은 더 커질 공산이 크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점포 매각은 비공개로 이뤄지고 있어 자세한 내용을 알기는 어렵다"면서도 "매각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편의점 '365플러스' 점주들의 대규모 이탈은 김 대표의 경영능력이 시험대에 오른 눈앞의 문제이다. 김 대표는 4월 기자간담회에서 "도시보다는 동네에 침투해 쉽게 접근하고, 먹거리 위주로 강화시킬 예정"이라고 365플러스의 경영계획을 밝힌 바 있다.

반면 365플러스 가맹점주 55명은 최근 홈플러스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무더기로 계약해지도 통보했다. 김 대표의 '편의점 강화' 전략이 걸음을 떼기도 전에 휘청거리는 형국이다.

365플러스 편의점주 55명은 4월말 홈플러스를 상대로 1인당 3000만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기했다. 이들은 홈플러스의 중대한 계약 위반으로 계속 적자나 한계상황에 내물리고 있다며 '계약 해지'도 통보했다. 편의점주들은 홈플러스가 제품 원가를 정확히 공개하지 않아서 손해를 보고 판매하는 '역마진 판매'가 발생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원가는 다 공개가 된다"며 "지난해부터 지속적으로 편의점 점주들과 이야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가 공개와 비공개로 양측의 주장이 극명하게 엇갈리면서 이 문제는 법원의 판단을 기다리려야 하는 처지가 됐다.

다만 판결에 앞서 소송에 참여하고 계약해지를 통보한 편의점이 홈플러스 전체 편의점 수의 6분의 1가량이어서, 김 대표의 편의점 강화 전략은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365플러스 가맹점은 현재 전국에 400여개 수준이다. 1만개를 넘어섰거나 근접한 CU등 빅3는 물론 가장 늦게 뛰어든 신세계 위드미(1300여개)와의 경쟁에서도 뒤쳐져 있다. 업계에서 365플러스 분리 매각설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96.91 2.25(-0.09)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10.13 13:21

84,650,000

▲ 77,000 (0.09%)

빗썸

10.13 13:21

84,691,000

▲ 87,000 (0.1%)

코빗

10.13 13:21

84,625,000

▲ 20,000 (0.02%)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