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10 | 21
23.3℃
코스피 2,611.99 18.17(0.7%)
코스닥 759.36 6.14(0.82%)
USD$ 1,347.8 14.5
EUR€ 1,474.6 11.9
JPY¥ 903.1 8.4
CNH¥ 190.9 2.0
BTC 94,047,000 871,000(0.93%)
ETH 3,733,000 129,000(3.58%)
XRP 746.4 5.7(0.77%)
BCH 510,500 19,800(4.04%)
EOS 686 20(3%)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중국발 불황기 산업별 리스크 시점 예측

  • 송고 2017.12.13 09:20 | 수정 2017.12.13 09:20
  • 차은지 기자 (chacha@ebn.co.kr)

자동차 시작으로 디스플레이·반도체·조선·석유화학 중국발 불황기 직면

2018년 경기 상승 5업종·경기 하강 3업종 선정

2018 산업 전망 관련 그래프.ⓒ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18 산업 전망 관련 그래프.ⓒ하나금융경영연구소

KEB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3일 '2018년 산업 전망'을 발표하고 중국 경쟁력 상승에 따른 산업별 리스크 시점을 예측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최근 중국 기업들의 경쟁력이 급격하게 상승함에 따라 조만간 시장의 불황기가 시작되고 우리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산업을 시기별로 예측했다.

2017년 자동차를 시작으로 2018년 OLED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2020년 반도체, 석유화학, 조선 등 우리의 주력 산업 대부분이 연쇄적인 중국발 불황기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이주완 연구위원은 "LED, 철강, LCD, 휴대폰, 이차전지 등은 이미 중국의 경쟁력 강화로 장기불황을 겪고 있는데 앞으로 자동차, OLED, 반도체, 석유화학, 조선 등도 이들 산업과 유사한 처지에 놓이게 될 우려가 높다"고 주장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올해 한국 경제를 이끌었던 수출과 설비투자가 내년에는 큰 기여를 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올해 수출의 경우 2015~2016년 2년간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를 배제할 경우 2014년 실적을 소폭 상회하는 수준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반도체, 원유, 금속 등의 가격효과를 제거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생산능력, 가동률, 출하, 재고 등 생산의 실질적인 요소들은 여전히 부진한 상황에서 기저효과마저 소멸하게 됨에 따라 2018년 수출은 급격히 둔화될 수밖에 없고 설비투자 역시 규모로는 거의 올해 수준을 유지하겠지만 기저효과로 인해 증가율은 매우 낮거나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했다.

IT, 자동차, 철강, 조선, 건설 등 한국을 대표하는 주력 10대 산업의 중장기 경기 사이클을 예측하고 이들 산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가중 평균해 종합 경기 사이클 전망을 내놓았다.

계절효과에 따른 단기적인 파동을 제거하고 중장기 추세를 그러보면 10대 주력산업의 종합 경기 사이클은 2017년 1분기, 그리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으로 구성된 IT산업 경기 사이클은 2017년 4분기를 정점으로 하향 추세로 전환된다.

철강, 비철금속, 조선, 해운, 의류 등 5개 업종에 대해 현재보다 내년의 경기가 더 좋을 것으로 예상해 경기 전망치를 올렸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3개 업종은 경기 전망을 1~2단계씩 하향 조정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2018년 하반기부터 중국 기업들의 LCD, OLED, NAND, DRAM 공장들이 순차적으로 완공되기 시작하는데 생산규모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이 연구위원은 "현재 건설 중인 중국 LCD 공장이 모두 완공되면 증설 물량이 LG디스플레이 총 생산능력의 50%에 해당하고 내년에 완공되는 중국 반도체 공장의 생산능력은 삼성전자 총 생산능력의 20%에 달한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11.99 18.17(0.7)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10.21 13:58

94,047,000

▲ 871,000 (0.93%)

빗썸

10.21 13:58

94,050,000

▲ 915,000 (0.98%)

코빗

10.21 13:58

94,050,000

▲ 941,000 (1.01%)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