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10 | 25
23.3℃
코스피 2,581.03 18.59(-0.72%)
코스닥 734.59 10.6(-1.42%)
USD$ 1,347.8 14.5
EUR€ 1,474.6 11.9
JPY¥ 903.1 8.4
CNH¥ 190.9 2.0
BTC 93,785,000 2,084,000(2.27%)
ETH 3,498,000 32,000(-0.91%)
XRP 732 4.8(0.66%)
BCH 496,000 14,750(3.06%)
EOS 648 2(-0.31%)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부실시공 대안?…건설사, 동영상 기록관리 확대

  • 송고 2023.08.24 16:10 | 수정 2023.08.24 16:10
  • EBN 김창권 기자 (kimck2611@ebn.co.kr)

서울시 추진에 30대 건설사 참여, 품질 확보 노력

문제 발생하면 책임소재 명확히 할 수 있어 도움은 될 것

동영상 분량 방대해 유지관리도 쉽지 않아 건설사 부담

HDC현대산업개발에서 품질관리 실명 책임 시스템 운영을 위해 촬영된 성남산단 재생복합지식산업센터 드론 전경 사진. [출처=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에서 품질관리 실명 책임 시스템 운영을 위해 촬영된 성남산단 재생복합지식산업센터 드론 전경 사진. [출처=HDC현대산업개발]

잇따른 부실시공 논란으로 건설업계가 혼란을 겪는 가운데, 건설사들이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동영상 기록관리를 확대하고 있다. 이는 서울시가 아파트 부실시공을 막겠다며 ‘건설 과정 동영상 기록관리’를 건설사에 주문하면서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것이다.


24일 서울시와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도급 순위 상위 30개 건설사들이 동영상 기록관리에 동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시는 100억원 이상 규모의 공공공사의 경우에만 자체적으로 CCTV(관찰카메라)와 드론 등을 활용해 영상을 기록해 왔지만, 이를 주요 건설사들로 확대하기 위해 지난달 19일 주요 건설사들을 대상으로 동영상 기록관리 확대에 동참해달라는 공문을 보낸 바 있다.


이에 삼성물산, 현대건설, SK에코플랜트, 한화 건설부문, HDC현대산업개발, 포스코이앤씨, GS건설, 대우건설, 롯데건설, DL이앤씨, 호반건설 등의 건설사들은 기존에 해오던 건설현장의 동영상 기록관리의 범위를 확대하고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방안 등에 대한 세부적인 방침을 마련해 품질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먼저 현대건설은 건설현장의 안전과 품질 확보를 위해 작업 상황을 실시간 영상으로 촬영하고, 이를 정밀 모니터링 하는 현장 영상 기록 관리를 180여 개 국내 전 사업장으로 적요하기로 했다. 또 부실시공과 안전사고의 선제적 차단을 위해 스마트건설연구실의 주도로 스팟(로봇개), 무인드론, 스마트 글래스, 바디캠 등 스마트 장비를 활용한 현장관리를 확대하고 있다.


한화 건설부문은 스마트 안전기술을 접목해 실시간 건설현장 영상기록과 모니터링 시스템을 주요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현장 안전과 품질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인공지능(AI) CCTV, AI 영상분석 기반 변위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등의 안전관리 시스템과 함께 현장 작업자들이 착용한 ‘보디캠’을 통해 철근배근 콘크리트 타설 과정을 검측 과정부터 촬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DL이앤씨는 지난해 AI기반의 컴퓨터 비전 기술과 360도 카메라를 활용한 현장관리 솔루션 ‘디비전(D.Vision)’을 도입하고 건설 현장에서 드론이 촬영한 사진을 AI가 확인해 시공품질을 관리하는 스마트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이처럼 건설사들이 건설현장의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과 더불어 부실시공 근절을 위한 방안으로 모든 시공 과정을 동영상으로 남기는 기록관리를 확대하는 모습이다. 서울시 역시 국토교통부와 협의해 기록 관리 법제화를 추진하고, 법령 개정 전까지 건축허가 조건으로 주요 공정별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 보관토록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건축법 제24조 제7항과 시행령 제18조 제2항에 따르면 민간 공사장의 경우 사진 및 동영상 촬영대상은 다중이용 건축물 등으로 범위가 제한적이다. 이에 건축법을 수정해 촬영기록 대상범위가 모든 건축물로 확대하고, 촬영 대상이 매몰 구조물 및 지하층을 포함한 매층마다 상부 슬래브 배근을 완료한 경우로 법령을 확대 적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움직임에 업계에서는 감리직원이 확인하지 못한 부분을 영상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고 만약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책임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어 부실시공에 따른 우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부실시공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대안으로 책임 소재를 강화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될 것이란 의견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또한 동영상 기록관리에 대한 현실적 문제로 인해 대형건설사 외에는 사실상 유지관리가 어려울 수 있단 얘기도 나온다. 동영상 촬영과 보관에 있어서 분량이 워낙 방대하다 보니 이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게 중견건설사들은 부담이 될 수 있어 건설업계 전반으로 확산되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영상 촬영 영역을 확대하면 향후 발생한 사고 원인분석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근본적인 사전 예방차원의 효과는 크지 않을 것 같다”며 “촬영장비 설치와 운영, 데이터 보관 등에 인력과 비용을 투입해야 해 추가적인 업무들에 대한 로드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81.03 18.59(-0.72)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10.25 00:14

93,785,000

▲ 2,084,000 (2.27%)

빗썸

10.25 00:14

93,788,000

▲ 2,133,000 (2.33%)

코빗

10.25 00:14

93,751,000

▲ 2,091,000 (2.28%)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