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경쟁력 유리…‘반사이익’ 기대감
보복성 정책 따른 불확실성 확대 우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지난 14일(현지시간)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4배 인상해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이번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상이 국내 배터리업계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가격 경쟁력 측면에선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올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기존 25%였던 관세를 100%로 인상한다. 전기차의 핵심인 리튬이온 배터리와 배터리 부품에 대한 관세도 현행 7.5%에서 25%로 올리기로 했다.
천연 흑연, 영구 자석 관세율은 0%에서 2026년 25%로, 그 외 핵심광물의 관세율은 0%에서 25%로 상향한다.
미국이 이처럼 강도 높은 관세 인상을 결정한 것은 중국산 전기차와 배터리의 성장세가 위협적이기 때문이다.
전 세계 배터리 시장은 중국의 CLAT와 BYD가 나란히 시장 점유율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자국산 저가 배터리를 앞세워 내수를 넘어 해외 시장에서도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는 중이다.
미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으로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진입장벽을 높여도 중국 업체들은 배터리 가격을 대폭 낮춰 공세를 펼쳐왔다.
이번 관세 인상이 국내 배터리업계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주요 3사가 중국 전기차에 납품하는 배터리가 없어 별다른 타격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중국 전기차가 미국 시장에 거의 침투하지 못한 상태라 이번 관세 인상에 따른 미국 시장 내 판매량 변화도 미미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오히려 중국산 배터리와의 경쟁을 피할 수 있게된 만큼 사실상 미국시장에서 반사이익을 거둘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IRA에 이어 중국 전기차의 미국 진출이 더 어려워졌기 때문에 일단은 국내 배터리업계에 우호적일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산 배터리는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데 배터리에 부과하는 관세가 더 높아지면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라며 “한국산 배터리가 미국 시장 점유율을 높일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양국의 보복성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은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중국이 핵심 광물의 공급을 통제할 경우 아직 일부 핵심 소재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편인 국내 배터리업계가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미중 갈등이 심화되더라도 크게 타격을 입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고 경쟁력을 키워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16일 자동차·배터리 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미국의 중국 대상 관세 인상 조치에 대한 국내 영향을 논의했다.
양병내 산업부 통상차관보는 “중국의 대응 및 EU 등 주요 시장의 반응 등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우리 업계의 공급망 다변화를 지원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