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수출 호조에도 내수·중소기업 부정적 전망 커져
반도체 나홀로 호조 속…철강·비금속광물·유화 하락세 뚜렷
반도체 경기 호황에도 이외의 업종에서 부정적 전망이 고루 확산, 3분기 제조업 체감경기가 하향 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2238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3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직전분기(99)대비 10p, 전년 동기(91)대비 2p 하락한 ‘89’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BSI는 100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100이하면 그 반대를 뜻한다.
IT경기 상승으로 수출 중심 회복세를 보이던 체감경기가 내수기업과 중소기업의 부정적 전망과 전통 제조업의 침체가 지속되며 제동이 걸렸다.
매출액 중 수출비중 50%를 기준으로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으로 구분했을 때, 내수기업의 3분기 전망이 10p 하락한 ‘88’로 집계돼 수출기업의 전망치 ‘94’에 비해 부정적 응답이 많았다.
이는 수출 회복세가 반도체 등 일부업종에 국한되고, 고금리·고물가 상황이 예상보다 길어질 것으로 예측, 내수기업들의 우려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구분해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의 3분기 전망치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부정적 전망이 전분기보다 높아진 가운데 내수기업의 부정적 전망 상승폭이 컸고, 중소기업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망치를 보였다.
실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의하면 올해 자동차 내수 판매는 작년보다 5.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고 산업연구원의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자료에서는 13대 주력산업 중 자동차와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이차전지 등 7개 산업 내수가 올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3분기 경기전망이 상승하면서 기준치 100을 상회한 업종은 ‘반도체’가 유일했다. 반도체의 경우 3분기 전망치가 전분기 대비 8p 상승하며 ‘122’를 기록, 기준치를 크게 상회했다. AI 확산 등 IT 경기가 살아나며 고부가 메모리와 장비 수요 모두 확대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의료·정밀기기’와 ‘전기장비’ 업종도 3분기 경기전망이 각각 ‘108’과 ‘101’로 집계돼 긍정적 전망이 우세했지만 2분기 전망치 대비 11p와 16p 하락하며 반등세가 꺾인 모양새다. 의료·정밀기기의 경우, 미용 및 의료기기 수출 수요가 지속되고 있지만 의료파업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고, ‘전기장비’ 업종은 IT 경기 회복에 따른 전력·전선 수요 증가와 미국 전력망 인프라 교체가 호재로 작용했으나 배터리 기업 중심으로 부정적 전망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철강’, ‘정유·석유화학’, ‘비금속광물’ 등 전통 제조업은 부진한 업황이 심화될 것으로 점쳐졌다. 철강(79)은 전방산업 부진, 중국 및 일본의 값싼 수입재 유입 등으로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고, 정유·석유화학(85) 업종도 주요 시장에서 중국 저가 공세가 본격화되며 어려움이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비금속광물(67) 업종은 건설 자재 수요 감소와 장마, 폭염 등 계절적 비수기가 겹치면서 3분기 전망치가 가장 낮은 업종으로 집계됐다.
제약(78) 업종은 전분기(105) 대비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원재료 원가 상승 부담에 의료 파업에 따른 수주 감소가 겹쳤기 때문이다. 1분기 만에 전망치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졌다.
상반기 영업실적이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는 기업이 60.9%를 차지하면서 지난해(62.4%)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상반기 영업이익이 올해 계획한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15.3%가 ‘크게 미달(10%초과)’, 45.6%가 ‘소폭 미달(10%이내)’로 응답했다.
기업규모별로 봤을 때, 대기업(48.8%)과 중견기업(48.6%)은 ‘상반기 영업이익이 목표치에 미달할 것’이란 응답이 과반수에 못미친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63.3%의 기업이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올해 하반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대내외 리스크로 ‘내수소비 위축’(42.7%)과 ‘유가·원자재가 상승’(17.7%)을 가장 많이 응답했다. 이어서 ‘고금리 장기화’(12.7%), ‘해외수요 부진’(12.5%), ‘환율변동성 확대’(7.7%) 등의 응답이 뒤따랐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상반기 수출 개선에도 고금리, 고물가가 소비 및 투자 회복을 가로막으며 업종별 기업 체감경기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투자와 소비를 통해 경제 활력을 높일 수 있는 지원책 마련과 함께 중국의 저가 공세 속에서 전통 제조업의 수출길을 터줄 수 있는 수출시장별 틈새 전략을 민관이 함께 모색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