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대변인 역할 톡톡…조직 쇄신 견인
'정경유착' 꼬리표 떼고 재계 맏형 위상 회복 과제
"어려운 시기에 중책을 맡는 것이 조심스러웠으나,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우리 경제가 글로벌 경쟁에서 활로를 찾아나가는데 미력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회장직을 맡기로 결심했다."
류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회장이 지난해 8월 취임 당시 전한 메시지다. 류 회장이 오는 22일 취임 1년을 맞이한다.
한경협의 '재계 맏형'의 위상 회복과 외연 확장이라는 중책을 맡아 힘써온 류 회장은 민간 경제외교와 회원사 소통 확대는 물론, 단체의 변화를 이끌며 재계 대변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55년 만에 한국경제인협회로 새 간판을 단 시점부터 조직 쇄신을 견인, 대내외 활동 보폭을 넓혀가고 있다. 특히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고 한경협을 국민으로부터 신뢰 받는 경제단체로 다시 세우는 과제를 풀어가는 중이다.
한경협의 전신이었던 전경련은 앞서 △1988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일해재단 자금모금 △1995년 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선비자금 제공 △2002년 한나라당 대선 자금 차떼기 사건 등에 휘말려 고초를 겪은 바 있다.
2016년엔 국정농단 사태 당시에는 K스포츠와 미르재단을 위한 기업 후원금 모금을 주도한 사실이 드러나 정경유착의 몸통 취급을 받으며 추락했다. 당시 국민적인 지탄 속 재계 맏형의 자리를 대한상공회의소에 내주기도 했다.
류 회장은 국내 4대 그룹 총수들과의 친분이 깊어 기업들의 입장을 대변하기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취임 후 가장 먼저 '글로벌 싱크탱크형 경제단체'로의 도약 추진에 방점을 뒀다.
취임 한 달 뒤인 지난해 9월 첫 공식 국제행사인 '폴란드 크리니차 포럼'에 민간경제사절단 자격으로 참석해 우크라이나 재건과 방산·에너지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도 했다.
특히 윤석열 정부에서 해외 순방 사절단을 꾸리는 등 경제단체로의 재도약 시도 또한 류 회장 취임 후 달라진 점이다. 지난해 10월 첫 대외 행사로 중동 경제사절단 구성이라는 중책을 맡는가 하면, 그해 11월에는 영국 경제사절단을 모집을 주도적으로 추진, 경제단체 맏형 위상을 찾는데 공을 들이는 모습도 보였다.
올 초에는 일본 경제단체인 게이단렌과 한일 재계회의를 갖고, 한일 스타트업 육성과 한미일 3국 경제협력체 신설 추진, 한국의 포괄·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추진 등 한일관계 발전을 위한 초석을 다지기도 했다.
관심을 모았던 4대 그룹(삼성·SK·현대차·LG)의 재가입도 성과다. 2016년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을 계기로 전경련을 탈퇴한 4대 그룹은 일부 계열사가 형식상 회원사로 합류하는 방식으로 한경협에 가입했다.
최근엔 현대차가 회비를 납부했고 SK와 LG도 조만간 동참할 예정이다. 이 같은 4대 그룹의 복귀 배경에는 류 회장의 네트워크가 바탕이 됐다는 후문이다. 4대 그룹이 모두 회비를 납부하고 회원 활동을 재개한다면, 한경협은 7년 만에 최대 경제단체로서의 대표성과 위상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재계 시각이다.
앞서 지난 2월에는 포스코홀딩스, 아모레퍼시픽, KG모빌리티, 에코프로, 매일유업 등이 신규 회원사로 가입했다. 현재 한경협 회원사는 427곳에 달하며 네이버, 카카오, 하이브 등 국내 주요 정보통신(IT), 엔터테인먼트 기업들도 가입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단체 외형은 더욱 불어날 전망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류 회장은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고 한경협을 국민으로부터 다시금 사랑받고 신뢰받는 경제단체로 거듭날 수 있는 단체로 만드는 것이 숙제"라며 "진정성을 입증하는 과정 차원에서 각 주요 기업 그리고 산업의 글로벌 이슈 대응과 회원사 확대 등 여러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