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10 | 21
23.3℃
코스피 2,613.25 19.43(0.75%)
코스닥 759.19 5.97(0.79%)
USD$ 1,347.8 14.5
EUR€ 1,474.6 11.9
JPY¥ 903.1 8.4
CNH¥ 190.9 2.0
BTC 94,372,000 1,308,000(1.41%)
ETH 3,741,000 139,000(3.86%)
XRP 746.7 6.3(0.85%)
BCH 509,800 18,250(3.71%)
EOS 685 21(3.16%)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한은 금리인상 초읽기 돌입…산업계 '내수위축' 노심초사

  • 송고 2017.10.24 10:34 | 수정 2017.10.24 11:08
  • 서병곤 기자 (sbg1219@ebn.co.kr)

이주열 총재 기준금리 인상 시사..경기회복세·미연준 추가 금리인상 고려

시중금리 상승으로 가계부채 폭증 불가피...소매판매·건설경기 침체 우려

지난 19일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 방향을 밝히고 있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연합뉴스

지난 19일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 방향을 밝히고 있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연합뉴스

[세종=서병곤 기자] 한국은행의 내달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 및 투자호조로 경기 여건이 좋아졌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위원회(Fed·연준)의 연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같은 전망 속에서 산업계는 기준금리 인상은 시중금리 인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자칫 소비 위축, 건설 경기 침체 등 내수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경기회복세가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물가도 목표수준에 수렴할 것으로 확인되는 시점에 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발언은 지난 19일 개최된 금융통화위원회에 이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재차 시사한 것이다.

이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글로벌 경기에 따른 수출·투자·소비 호전과 추가경정예산 효과를 근거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로 제시하며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줄여나갈 여건이 어느 정도 성숙돼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한은이 다음 달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발언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동안 한은은 뚜렷한 경기회복세를 금리 인상의 전제조건으로 삼아왔기 때문이다.

또한 한은 금통위는 이날 1년 4개월째 연 1.25%인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동결 결정 과정에서 금리를 연 1.50%로 0.25%포인트 인상해야 한다는 소수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금리인상의 소수의견이 나온 것은 6년 만이다.

미 연준이 연내 추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공산이 커지고 있다는 점도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앞서 미 연준은 올해 3월(0.75∼1.00%, 0.25%p↑), 6월(1.00∼1.25%, 0.25%p↑) 두 차례나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특히 6월 미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한국의 기준금리와 미국의 기준금리는 같아졌다.

이 총재는 최근 열린 국정감사에서 "미 연준의 12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90% 이상"이라며 "이것이 현실화되면 한미 간 금리가 역전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 간 금리 역전 현상은 한은으로서는 부담일 수밖에 없는 만큼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처럼 한은이 내달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고, 미 연준이 12월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게 되면 시중금리는 가파르게 올라 갈 것으로 보인다.

실제 미 연준의 금리인상 단행과 추후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제기된 지난 6월 시중은행의 대출 상품 이자율이 상승했다.

대표적으로 KEB하나은행의 신용대출 '행복투게더프리미엄주거래 우대론'의 금리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린 6월 15일 연 3.314∼4.514%에서 20일 3.318∼4.518%로 올랐다.

농협은행의 신용대출상품 '신나는 직장인 신용대출' 금리도 종전 3.37∼3.77%에서 20일 3.39∼3.79%로 0.02%포인트 증가했다.

이같은 시중금리 인상은 오늘 발표될 예정인 정부의 가계부채종합대책과 연계되면 1400조원에 달하는 가계빚을 옥죄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가계부채종합대책에는 신(新)총부채상환비율(DTI) 도입, 중도금대출 보증요건 강화, 자영업자대출 리스크 관리 강화 등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산업계에서는 가파른 시중금리 인상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시중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면 가계부채가 더욱 급증해 민간의 소비 여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이 지난 6월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0.5% 포인트 오르면 고위험가구는 8000가구, 1.5% 포인트 오르면 6만 가구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지난 8월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가 3개월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서는 등 소비가 여전히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러한 상황 속에 금리인상으로 가계부채가 늘어나면 자동차업계의 내수 판매에 찬물을 끼얹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건설사 한 관계자도 "정부의 8·2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건설투자 감소세가 뚜렷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인상 단행과 함께 여기에 가계부채종합대책까지 더해지면 건설경기 위축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한은이 이점을 고려해 기준금리 인상에 신중하게 접근해주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13.25 19.43(0.75)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10.21 10:56

94,372,000

▲ 1,308,000 (1.41%)

빗썸

10.21 10:56

94,298,000

▲ 1,214,000 (1.3%)

코빗

10.21 10:56

94,321,000

▲ 1,283,000 (1.38%)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