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자본 4조원 대형사 메리츠 부동산PF 보증부채 살펴볼 예정
앞서 금감원, 삼성증권 그룹 계열사 등기임원 대출적정성 점검
메리츠 "자료 준비 중....2019년 부동산 테마검사 받은 바 있어"
금융감독원이 증권사 종합검사 대상으로 '메리츠증권'을 확정했다. 이번 검사에서 금감원은 자기자본 4조원대로 부상하는 메리츠증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부채 현황과 사업 건전성 및 자산운용 적정성 여부 등을 살펴볼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지난1월 금감원은 삼성증권에 대한 종합검사에서 삼성그룹 계열사 등기임원에 대한 대출 적정성 여부를 점검했다.
26일 증권업계와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메리츠증권에 종합검사 대상자로 선정됐음을 통보하고, 검사 준비를 위한 사전자료를 요청했다.
금감원은 사전자료를 바탕으로 준비 기간을 거쳐 5월부터 종합검사 현장업무에 돌입할 예정이다. 종합검사는 금감원이 금융사 사업 전반을 샅샅이 살펴보는 행위로 가장 강력한 검사 수단이다.
메리츠증권은 지난 10년간 부동산금융에 특화된 기업금융을 통해 급성장을 전개해왔다. 이 결과 2009년 4000억원대였던 자기자본은 10년만인 지난해 3조9000억원대로 10배가량 상승했다.
이 기간 당기순이익은 213억원에서 5956억원으로 뛰어올랐다. 지난해 전체 영업순수익 1조1459억원 가운데 IB가 차지하는 비중은 60%(7000억원)에 달한다. 올해 메리츠증권은 자기자본 4조원대 대형증권사로 등극한다.
이같은 급성장에 대한 반대급부도 뒤따라왔다. 메리츠증권 뒤를 이어 증권업계 전반이 부동산금융을 통한 수익 발굴에 집중하자 금융당국이 규제책을 냈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019년 증권사 전반이 확대한 부동산금융이 금융시스템을 위협한다며 규제 강화(부동산PF 익스포져 건전성 관리 방안)를 선포했다.
이 규제에는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채무보증(우발부채) 한도 100% 설정 △부동산PF 채무보증에 대한 신용위험액 산정시 위험 값을 18%로 상향 조정 △조정 유동성비율 100%미만 증권사에 대한 리스크 관리 및 점검 강화 등이 담겨 있다.
이같은 내용의 조정유동성비율 규제가 지난해 12월부터 적용되기전인 메리츠증권은 지난해 초부터 부동산 채무보증 비율을 단계적으로 줄이며 조절해욌다. 당시 코로나19 여파로 자금 경색과 실물경제 위축 우려도 존재했기 때문에 자산부채 포트폴리오 조정이 필요했다는 판단에서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메리츠를 포함한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대형 증권사의 우발채무(채무보증) 규모는 감소세를 기록 중이다.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상위 8개 증권사는 우발부채 규모를 약 30조2000억 원으로 공시했다. 지난해 1윌 35조원에 달했던 우발부채가 줄어든 결과다.
현재 증권사 대부분은 조정유동성비율 기준을 준수 중이다. 금융통계정보시스템(FISIS) 지난해말 기준 메리츠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는 상대적으로 조정유동성비율이 증권사 중 낮은 쪽에 속한다.
다만 BNK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신영증권, 현대차증권 등이 조정유동성비율 100%를 넘거나 근접한 것으로 파악된다. 조정유동성비율이 100%에 근접한 증권사는 향후 우발채무를 확대하기 어려워 수익성 개선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게 신한금융투자의 분석이다.
이번 종합검사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사 검사는 일상적인 금감원 업무"라면서 "검사 방침상 자세한 사항은 말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