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료용 요소 수출 중단…중동으로 수입처 확대
다음 리튬?…2차전지 핵심소재 中 의존도 높아
현대차·포스코, 아르헨·호주서 리튬 구축·공급망↑
중국이 비료용 요소 수출을 중단하는 등 자원 패권주의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 핵심 광물에 대한 의존도가 국내 산업계는 공급처 다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포스코그룹은 미래 핵심 먹거리인 전기차 배터리 소재 공급망 다변화로 경쟁력을 높였다는 평가다.
14일 업계 및 외신을 종합해보면 중국 정부는 최근 일부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세계 최대 요소 생산국이다.
국내 요소수 제조업체들은 요소 알갱이를 수입해 물과 섞어 완제품으로 만들어 판매한다. 요소수는 디젤차 배출가스 저감장치에 꼭 필요한 제품이다. 각종 운송트럭 운행에 필수적인 제품이라 산업계와 물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번 중국의 수출 통제로 일각에서는 지난 2021년과 같은 요소수 품귀 현상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당시 우리나라의 중국산 요소 수입 의존도가 97%에 달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요소 수급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차량용 요소 재고는 민간 재고 55일분, 조달청 비축 15일분 등 총 70일분이 확보돼 있다. 2.5개월분에 해당하는 수입 계약도 이미 체결됐다.
요소 수입처 다변화가 한몫한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는 비료용 요소를 카타르에서 41%,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0%를 수입하는 등 중동으로 수입망을 넓히고 있다.
산업계에서는 중국이 ‘리튬’을 다음 자원 무기로 삼을지 주목하고 있다. ‘하얀 석유’로 불리는 리튬은 2차전지의 핵심 소재다. 2차전지는 양극재·음극재·분리막·전해액으로 구성되는데 양극재가 2차전지 원가의 약 30%를 차지한다. 양극재에서 리튬이 원가의 약 45%를 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중국산 리튬 의존도가 높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리튬 무역 적자는 50억9000만달러로 이중 대중국 무역적자는 30억달러에 달했다. 리튬 무역적자의 59%가 중국에서 발생한 셈이다.
중국이 니켈, 코발트, 흑연 등 다른 2차전지 핵심 광물도 무기화할지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중 무역갈등이 반도체, 전기차 등 첨단산업 중심으로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게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다. IRA는 미국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핵심 광물을 40% 이상 사용한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최대 3750달러의 세액공제 혜택을 부여한다.
산업계에서는 핵심 광물의 탈(脫)중국 속도를 높이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2018년 일찌감치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를 인수했다. 작년 3월부터 현지에 2만5000톤 규모의 염수 리튬 1단계 상·하공정을 건설 중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추가 투자를 통해 아르헨티나 염호 기반으로 오는 2028년 기준 최대 10만톤까지 리튬 생산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홀딩스는 호주에선 리튬 광산업체인 필바라 미네랄과 협력해 연간 31만5000톤의 리튬 공급망을 구축했다.
현대자동차그룹도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달 비철금속 제련 기업 고려아연과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 사업 제휴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양사는 전기차 배터리용 핵심 소재인 니켈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우선 추진한다. IRA 등 국가별 법규를 고려할 때 수급 리스크가 있고 원가 비중도 높은 니켈의 공급망 안정을 위해서다.
또 현대자동차그룹은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와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총 5조7000억원(약 43억달러)를 투자해 하반기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브라이언 카운티에 배터리 공장을 착공하기로 했다. 전기차 30만대분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오는 2025년 말 양산이 목표다.
현대차그룹은 SK온과 조지아주 바토우 카운티에 연간 35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 합작공장을 설립하기로 했다. 이 같은 협업으로 현대차그룹은 미국에서만 생산능력을 65GWh까지 높이게 됐다.
산업연구원은 “중국의 수출 통제는 첨단산업의 공급망을 내재화하고자 하는 전략”이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첨단산업 및 기술 육성 전략 모니터링 등 공급망 전략에 대응하는 산업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