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가 출시됐을 때 많은 사람들이 놀랐다. 기존 시장에는 없는 새로운 유형의 담배였거니와 냄새도 덜하고 일반담배보다 유해물질이 90% 저감 효과가 있다고 홍보됐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마트폰 시장의 문을 연 아이폰과 비견되기도 했다.
아이코스를 생산 판매하고 있는 필립모리스에 따르면 제품의 개발과 연구에 20년의 개발기간 동안 총 4조8000억원이 투자됐으며, 연구인력은 총 430여명이 투입됐다. 필립모리스로선 모든 것을 쏟아부어 만든 야심작인 셈이다.
시장의 반응은 좋았다. 금연과 흡연의 중간에서 고민하던 많은 이들이 아이코스로 갈아탔다. 정가기준 기기값만 12만원인데도 100만명이 선택할 만큼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경쟁사인 KT&G와 BAT코리아도 이에 질새라 각각 자사의 궐련형 전자담배 '릴'과 '글로'를 출시해 역시 높은 판매를 올리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점유율은 2017년 7월 3%에서 2018년 2월 8.6%로 크게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1개월에 984만갑이 판매됐는데, 올해 들어서는 1개월에 2425만갑이 판매되고 있어 판매 속도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 상황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 곳이 있었으니 바로 금연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보건복지부다.
잘 진행되던 금연정책이 궐련형 전자담배 때문에 제동이 걸려 버린 것이다. 실제로 높은 감소세를 보이던 담배 판매량은 궐련형 전자담배 출시 이후로 감소세가 완만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안되겠다 싶은 복지부가 칼을 꺼내 들었다. 일반담배에만 부착하던 혐오그림을 궐련형 전자담배에도 부착하기로 한 것이다.
하지만 근거가 필요했다. 국민건강증진법 9조2에는 '(담배) 경고그림은 사실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고, 지나치게 혐오감을 주지 아니하여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즉 궐련형 전자담배도 일반담배만큼 유해하다는 근거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담배업계도 이를 근거로 혐오그림을 부착해선 안된다고 복지부에 강력히 맞섰다.
마침 진행되고 있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궐련형 전자담배 유해성분 분석 결과에 모든 눈과 귀가 쏠렸다.
그리고 지난 7일 결과가 발표됐다. 식약처는 복지부의 손을 들어줬다.
식약처는 분석결과에 대한 보도자료와 브리핑에서 △2개 제품에서 타르의 함유량이 일반담배보다 높게 검출 △이는 일반담배와는 다른 유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세계보건기구(WHO) 등 외국 연구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궐련형 전자담배가 일반담배보다 덜 유해하다는 근거 없음 △벤조피렌, 벤젠 등 인체발암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 △일반담배와 마찬가지로 암 등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근거가 마련된 복지부는 곧바로 궐련형 전자담배에도 혐오그림을 부착하기로 확정하고 오는 12월23일부터 시행할 것임을 밝혔다.
하지만 식약처 발표에는 일종의 꼼수가 있었다.
식약처는 11개 유해 성분(니코틴, 타르, WHO 저감권고 9개 성분)을 분석했다. 여기에서 타르 함유량은 일반담배보다 많이 검출됐고, WHO 저감권고 9개 성분 함유량은 일반담배보다 월등히 적게 검출됐다.
식약처는 결과 발표에서 복지부에 절대 유리한 타르를 콕 찝어서 강조하고, 담배업계에 유리한 WHO 저감권고 9개 성분은 그저 수치로만 제시했다.
언론들은 방점이 찍힌 타르 수치만 강조해 보도했고, 그동안 궐련형 전자담배가 유해성이 적다며 제품을 팔아 온 담배업계는 순식간에 거짓말쟁이 장사꾼이 돼 버렸다.
실제 이번 발표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아 보인다.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들 사이에서 일반담배로 돌아갈지 고민하는 이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담배업계는 허탈해 하고 있다. 수조원을 들여 기껏 유해성이 저감된 신제품을 개발했는데 '궐련형이든 뭐든 담배는 담배다'라는 정부의 인식에 힘이 쭉 빠진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런 식이면 앞으로 연구개발에 돈을 쓸 필요가 있나 싶다"고 말했다.
정부도 금연정책을 강화해 나가야겠지만, 업계의 선의의 노력을 수포로 돌아가게 하지 않는 배려도 필요해 보인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